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89

[CI/CD] CI/CD 구현하기 젠킨스(JenKins)/도커(docker)/Node.js/Ubunto (1) CI/CD 란? CI : Continuous Integration(지속적 통합) CD : Continuous Deployment/Delivery(지속적 베포) 둘은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, 서로 같이 구현하기 때문에 , CI/CD라고 불립니다. 개발자들이 코드를 통해 백엔드/프론트엔드를 구현한 후, 최종적으로 배포라는 과정을 하게 됩니다. 최종적 배포 과정에서 CI/CD를 적용하게됩니다. 배포의 과정에서 CI/CD를 적용함에 득이 되는 부분은 바로 자동화 입니다. 과거 배포 방식은 팀을 이룬 개발자들이 각 분야를 담당하며 코드를 짜고, GitHub같은 저장고에 merge를 하고, 헤더급 개발자가, 합쳐지는 과정에서, 애러는 안나는지, 코드 끼리 서로 연결은 잘됬는지, 확인 후 에 확장자파일(.jar 도는 .. 2022. 4. 11.
Solidity)솔리디티 Visibility for constructor is ignored. If you want the contract to be non-deployable, making it "abstract" is sufficient. Visibility for constructor is ignored. If you want the contract to be non-deployable, making it "abstract" is sufficient. 위와 같은 애러가 났다. -원인 : 생성자(constructor)의 가시성은 무시가 됩니다. 때문에 컨트랙트를 배포 할 수 없도록 하기위해선 "abstract"를 선언하거나 배포를 하기 위해선 아무것도 선언하지 않으면 됩니다. - 해결 : 생성자(constructor)에서 배포를 할 경우, Public 지우고 그냥 Deploy하면 됩니다. 배포를 못하기 하려면 Public자리에 abstract를 넣으면 됩니다. 2022. 4. 6.
[React-Native] react-native-picker-select 사용하여 Select Box 구현하기 위 사진 처럼 선택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을 구현해보겠습니다. # react-native-picker-select 공식 Github : https://github.com/lawnstarter/react-native-picker-select GitHub - lawnstarter/react-native-picker-select: 🔽 A Picker component for React Native which emulates the native int 🔽 A Picker component for React Native which emulates the native interfaces for iOS and Android - GitHub - lawnstarter/react-native-picker-select: 🔽 .. 2022. 3. 28.
[React Native] 스플래쉬 스크린(splash-screen) 구현하기 디지니, 넷플릭스 같은 앱을 키게 되면 맨 처음 이런 화면이 나오는걸 많이 보셨을겁니다. 이 화면을 스플래쉬 스크린(splash-screen) 이라고 합니다. 스플래쉬 스크린을 사용하는 이유는, 사실 저 화면 뒤에선 아주 바쁘게 코드가 돌아가고 있습니다. 사진, 또는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갖고와서 화면에 보여지게 하거나, 사용자의 핸드폰에 앱의 로그인 데이터가 있는지 조회를 하거나, 등등 앱 실행 초기에 보여주면 안되는 과정을 가리기 위해 스플래쉬 스크린을 사용합니다. React Native에서 이를 적용하기 위해선 설정을 해줘야합니다. 지금부터 그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. # 해당 글의 과정은 안드로이드 설정입니다. React-native-splash-screen 공식 GitHub : https://gi.. 2022. 3. 22.
java.lang.SecurityException: Permission Denial: starting Intent exception occurred while executing 'start' java.lang.SecurityException: Permission Denial: starting Intent 빌드에 성공하나 싶어 좋아하려는 순간, 위와 같은 애러가 나왔네요. 원인은 android:exported="false"를 한 경우 였습니다. 해당 원인은 아래와 동일한 경우이지만, 조금 설명을 드리자면 https://borntodevelop.tistory.com/3 Execution failed for task ':app:processDebugMainManifest'. android/app/build.gradle의 컴파일SDK 버젼과 targetSDK버젼을 바꾸게 되었다. 버젼을 변경하고 npm run android.. 2022. 3. 22.
Task :app:checkDebugAarMetadata FAILED React native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 하던 도중, 만났던 애러 메세지 입니다. npm i react-native-splash-screen 후에 발생한 애러이지만, 보편적으로 기능을 추가할 때, 두루 발생하는 애러처럼 보여집니다. 해결방법은 빨간 네모에 나온거 처럼 컴파일SDK 버젼과 targetSDK 버젼을 31 이상으로 명시하면 됩니다. 변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 //android/app/build.gradle 2022. 3. 22.
Execution failed for task ':app:processDebugMainManifest'. android/app/build.gradle의 컴파일SDK 버젼과 targetSDK버젼을 바꾸게 되었다. 버젼을 변경하고 npm run android하니 Execution failed for task ':app:processDebugMainManifest'. 라는 애러가 나타나게 되었다. 주황색 부분을 보면 Android 12 이상부터는 AndroidManifest.xml에 를 추가할 경우 android:exported="true" 또는 "false"를 넣어줘야한다고 한다. , 등 또한 적용되어야 한다. # android:exported 란? exported 속성은 앱에서 활동, 서비스 또는 수신기에 액세스 할 수 있으며 외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실행 될 수 있는지를 정의하는 곳입니다. Ex) 카카오 AP.. 2022. 3. 22.
[React Native] 카카오 로그인 API 적용하기[안드로이드 버젼] 카카오 개발 공식 문서에는 웹, 안드로이드, IOS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 안드로이드와 IOS같은 경우 Kotlin과 Swift 언어를 통한 접근 방법을 알려주지만, React-Native 같은 경우는 공식 문서에서 찾아볼 수 없습니다. 하지만 react-native-seoul에서 호환을 해주는 패키지를 개발해 주셔서 npm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공식 Github 주소: https://github.com/react-native-seoul/react-native-kakao-login GitHub - react-native-seoul/react-native-kakao-login: react-native native module for Kakao sign in. react-na.. 2022. 3. 19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