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# 1. 리눅스 폴더(디렉토리 생성)
ls : 해당 폴더(디렉토리)의 목록 확인
cd : 경로 이동
> mkdir 폴더명
// -p : 폴더 내부에 하위 파일 생성
> mkdir -p 폴더명/파일명
# 2. 리눅스 파일 생성
> touch 파일명
# 3. 리눅스 파일 삭제
ls로 현재 디렉토리에 text.txt 파일이 있었는데,
rm -rf로 파일을 삭제한 후, 디렉토리에 아무것도 없는 모습
> rm 파일명
// -r : rm 명령어로 폴더 삭제하는 경우
> rm -r 폴더명
// -rf : 사용자에게 삭제 여부를 묻지 않고 바로 삭제
> rm -rf 파일 or 폴더명
** 디렉토리를 삭제할 경우,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삭제되므로 유의 **
# 4. 리눅스 폴더 삭제
ls로 현재 디렉토리에 folder 폴더가 있었는데,
rmdir 로 폴더 삭제한 후, 디렉토리에 아무것도 없는 모습
> rmdir 폴더(디렉토리)명
반응형
'DevOp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Linux 명령어와 쉘 스크립트 완벽 정리 (0) | 2025.03.12 |
---|---|
[LINUX] 리눅스 터미널과 쉘 – 기본 개념 및 명령어 총정리 (0) | 2025.03.11 |
[LINUX] 리눅스 OS 버젼 및 정보 확인 명령어 (0) | 2023.06.19 |
댓글